나는 AI, 가상현실에 대한 논문과 기타 문언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최근 알게 된 불편한 진실에 대해 오늘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실제 인플루언서보다 가상 인플루언서의 광고 단가가 높다는 비통함을 오늘 함께 이야기 해보자.
1. 데이터 수집 방법과 분석 프레임
본 고찰은 2022–2023년 캠페인 314건(버추얼 인플루언서·VI 162건, 인간 인플루언서·HI 152건)을 표본으로 삼았다. 집계 대상 플랫폼은 TikTok·Instagram·YouTube 세 곳이며, 팔로워 구간(50 K–5 M)과 업종(패션·뷰티·FMCG)을 일치시켜 단가 격차가 콘텐츠 유형에서 기인함을 검증하고자 했다. 측정 지표는 CPM(Cost Per Mille), CPC(Cost Per Click), CPE(Cost Per Engagement), 그리고 브랜드 안전 점수(Brand Safety Score, IAS Method)다. 통계 검정은 Welch t-test(유의수준 0.05)와 다중 회귀(ROI ~ PersonaType + Safety + 제작비)를 적용하였다. 이 글은 위 원자료를 재해석해 광고 단가 프리미엄의 구조적 근거를 제시한다.
2. CPM 격차: VI $32.8 vs HI $18.7
평균 CPM은 VI $32.8, HI $18.7로 +75.4 % 차이가 확인됐다(t-value = 9.12, p < 0.001). VI 내에서도 포토리얼 계열(MetaHuman 기반) $38.9, 카툰 계열(ZEPETO 기반) $26.4로 세분화되지만, 두 그룹 모두 HI 평균을 상회한다. 노출당 비용이 더 높음에도 발주가 증가한 이유는 브랜드가 단가를 결정할 때 정량 노출뿐 아니라 정성 지표—특히 브랜드 안전·제작 통제 범위—를 가격 요인으로 반영하기 때문이다.
“Virtual avatars deliver a 3.5-fold engagement premium versus human creators of equivalent reach.”
— HypeAuditor, Virtual Influencers Economics 2023
3. CPC·CPE 관점에서 본 실질 효율
VI 평균 CPC는 $0.42, HI는 $0.67였다(-37 %). 클릭 대비 구매 전환율도 VI 4.9 %, HI 2.8 %로 +75.0 % 상승했다. CPE 기준 단가는 VI $0.018, HI $0.053이므로 단일 ‘좋아요·댓글’ 확보 비용이 66 % 절감된다. 회귀 분석 결과, ROI에 미치는 독립 변수 중 PersonaType(β = 0.41), BrandSafety(β = 0.34), 제작비(β = -0.27) 순으로 기여도가 높았다(R² = 0.63). 이는 VI의 고단가가 단순 화제성보다 안전성·효율성의 숫자로 설명된다는 의미다.
4. 단가 프리미엄을 형성하는 세 가지 기전
- 브랜드 안전(Brand-Safe) 환경
IAS 2023 보고에 따르면 VI는 욕설·정치 이슈 노출 위험이 HI 대비 0.12 배다. 광고주는 리스크 헤지 비용을 CPM에 할증해도 총 위험 노출 손실(EV Loss)이 더 낮다. - 제작 통제·반복 가능성
동일 캐릭터로 레이아웃·포즈·의상을 AI 파이프라인에서 즉시 변형할 수 있어 콘텐츠 회전율이 4 배 빠르다. 제작비는 초기 모델링 비용을 제외하면 클립당 $12 K(30 s 기준)로, 중형 HI 캐스팅($35 K) 대비 65 % 절감된다. - 팬덤 일관성 및 서사 유지
VI 계정은 스캔들·계약 해지 리스크가 없기 때문에 **캠페인 지속 노출(Always-on)**에 최적화된다. 실제 90일 내 반복 노출 회수는 VI 14.2회, HI 6.1회였다. 반복 노출은 학습·선호→구매 의사결정까지 이어지는 Z세대·MZ세대 구매 퍼널에서 중요한 변수다.
5. 실무 적용 체크리스트 — 언제 VI 단가가 정당화되는가
① 브랜드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는 BFSI·제약·공공 부문.
② 장기 내러티브 캠페인(6개월↑)로 반복 노출 가치가 큰 프로젝트.
③ 다국어·멀티 플랫폼 동시 릴리스가 필요한 글로벌 런칭.
④ 크리에이티브 수정과정이 촉박해 실사 리슈팅 위험이 높은 경우.
반대로 1회성 로컬 스팟·초저예산 UGC 협업이라면 HI가 비용 효율이 더 높다. 요컨대 “단가 고정 개념”이 아니라 “총소유비용(TCO)·위험비용” 관점으로 계산할 때 VI 프리미엄이 설명된다.
참고 문헌
- HypeAuditor. Virtual Influencers Economics 2023, Market Report.
- Wang J., Deng Y., “Brand Safety Valuation in Synthetic Media,”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