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오늘은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2026년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확정안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인 가구 기준 최대 82만 원, 5인 가구는 최대 241만 원까지 받을 수 있는 중요한 지원금 정보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누가,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중위소득 인상
정부는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을 인상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각종 복지 수급자격을 정하는 핵심 기준인데요,
가구원 수에 따라 금액이 다르며, 아래 표처럼 올랐습니다.
가구 수 2025년 2026년
1인 | 2,392,130원 | 2,564,238원 |
2인 | 3,932,658원 | 4,199,292원 |
3인 | 5,025,353원 | 5,359,036원 |
4인 | 6,097,773원 | 6,494,738원 |
5인 | 7,108,192원 | 7,556,719원 |
생계급여 대상은 이 중위소득의 32% 이하 가구입니다.
생계급여 금액
2026년부터 생계급여 금액도 인상됩니다.
아래는 각 가구원 수별 최대 지급액입니다.
가구 수 2026년 생계급여
1인 | 820,056원 |
2인 | 1,343,773원 |
3인 | 1,718,892원 |
4인 | 2,078,316원 |
5인 | 2,418,150원 |
6인 | 2,737,905원 |
단, 이 금액은 본인의 소득을 뺀 차액만큼 지급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소득이 70만 원인 1인 가구는 820,056원 - 700,000원 = 120,056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재산 기준 완화
2026년부터는 자동차와 재산 기준도 완화되어 더 많은 분들이 수급 대상에 포함될 수 있게 됐습니다.
- 자동차는 가액 500만 원 미만 소형차까지 허용
- 다자녀 가구는 7인승 이상 차량, 10년 이상 노후 차량, 500만 원 이하 차량도 인정
- 자동차 재산 환산율도 **기존 100% → 4.17%**로 낮아짐
자동차가 있다는 이유로 수급에서 탈락했던 분들에게는 굉장히 반가운 변화입니다.
신청 방법 안내
생계급여는 2026년 1월부터 적용되며, 매월 지급됩니다.
신청은 관할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누리집에서 가능합니다.
- 신청 시기: 2026년 1월부터
- 신청 장소: 읍/면/동 주민센터
- 온라인: 복지로
- 필요 서류: 소득 증빙, 재산 내역, 가족관계 증명 등
※ 주의사항:
신청한 달이 아닌, 다음 달부터 지급이 시작되니 미리 신청하는 게 유리합니다.
이번 생계급여 개편안은 많은 저소득 가구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되시는 분들은 꼭 신청하셔서 혜택을 챙기시길 바랍니다.